◄ 91:2
제 91 편
91:4 ►

기도의 진화

3. 기도와 타아인 자기

91:3.1

말을 사용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배운 아이들은 자기가 말하는 것을 아무도 듣지 아니할지라도 생각을 소리치려는 경향, 자신의 생각들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창조적인 상상력이 생기면서 그들은 가상(假想)의 동행자들과 대화를 나누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방법으로 싹트는 자기는 가상적인 타아인 자기와 교제하려고 추구한다. 아이는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자신의 독백하는 회화를 가상의 대화로 바꾸는 방법을 일찍부터 터득하는데, 그 대화 속에서 이 타아인 자기는 말로 하는 그의 생각과 소원 표현에 응답한다. 어른의 사고에서의 아주 많은 것이 정신적으로는 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91:3.2

초기의 원시 형태의 기도는 지금-현재 토다 부족의 반(半) 마술적인 암송(暗誦)과 매우 흡사하며, 특정한 어느 누구에게 드리는 것이 아닌 그러한 기도였다. 그러나 그러한 기도 기법들은 타아인 자기에 대한 관념이 창발됨으로써 대화하는 유형의 교통으로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이 되면, 타아인 자기 개념은 신성한 존엄성이라는 우월한 지위로 고취되고, 그리고 종교에서의 매개자로서 기도가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원시적 유형의 기도는 지능의 차원과 그리고 참으로 윤리적인 기도의 차원을 달성하기 전에, 여러 위상을 거치고 그리고 오랜 세월 동안 진화하도록 정해져 있다.

91:3.3

기도하는 필사자들의 이어지는 세대에 의해 인식되는 것처럼, 타아인 자기는 귀신들과 주물(呪物)들 그리고 영들의 단계를 거쳐 다신론적(多神論的) 하느님들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결국에는 유일하신 하느님, 가장 높은 이상(理想)들과 기도하는 자기의 가장 고귀한 소망을 체현하는 신성한 존재에 이르기까지 진화한다. 그렇게 하여 기도는 기도하는 자들의 가장 고귀한 가치들과 이상들을 보존함에 있어서 종교의 가장 강력한 매개자로 기능한다. 타아인 자기를 인식하는 순간부터, 하늘에 계신 신성한 아버지에 대한 개념이 출현될 때까지, 기도는 언제나 사회화시키고 교화하고 영성화 시키는 실천이다.

91:3.4

신앙으로 하는 단순한 기도는 인간 체험에서 강력한 진화를 입증하고, 그것에 의하여 원시적인 종교의 타아인 자기에 대한 허구적인 상징물과의 먼 옛날의 대화는, 무한자의 영과 교제를 나누는 차원으로 그리고 모든 지적인 창조의 주인이신 영원한 하느님과 파라다이스 아버지의 실체에 대하여 진정으로 의식하는 차원으로 고양되게 되었다.

91:3.5

기도하는 체험 속에서의 초(超)자아에 해당되는 모든 것을 제외한다면, 윤리적인 기도가 나은 삶과 보다 높은 달성을 위하여 한 사람의 자기를 증진시키고 자아를 강화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만 한다. 기도는 인간적 자기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두 가지 모두의 길을 볼 수 있게 유도한다: 그것은 필사자 체험의 잠재의식 저장소에 대한 물질적인 원조와, 그리고 물질적인 존재가 영적인 존재, 신비 감시자와 접촉하는, 초(超)의식적 경계에 이르는 영감과 안내이다.

91:3.6

기도는 지금까지 언제나 그리고 앞으로도 영원히 이중적인 인간 체험인데: 영적인 기법과 상호-연관된 심리적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도의 두 가지 기능들은 결코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

91:3.7

깨우친 기도는 반드시 외부에 있고 그리고 개인적인 하느님을 인식해야만 할뿐만 아니라 내부에 있고 그리고 미(未)개인적인 신성, 내주하는 조절자도 인식해야만 한다. 사람이, 기도할 때, 파라다이스의 우주 아버지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애를 쓰려고 하는 것은 모두 맞는 일이다; 그러나, 가장 실천적인 목적을 위한 더욱 효과적인 기법은 바로 원시적 마음이 습관처럼 행해왔던 것과 똑 같이, 바로 옆에 있는 타아인 자기의 개념으로 되돌아 가 보는 것이며, 그리고는 이 타아인 자기의 관념이 단순한 상상에서부터 조절자의 사실적 현존으로서 필사자 사람 안에 내주한다는 하느님의 진리까지 진화해 온 것, 그리하여 사람이, 말하자면, 얼굴을 마주하고 살아있는 하느님, 우주 아버지의 바로 그 현존이자 본질인 그리고 자신에게 내주하고 있는, 실제이자 진정이며 그리고 신성한 타아인 자기와 이야기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 91:2
 
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