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9:5
제 69 편
69:7 ►

원시 인간 제도

6. 문명과 불의 관계

69:6.1

네 개의 분야─산업적, 규제적, 종교적, 군사적─로 구성된 원시적 사회는 불, 동물들, 노예들, 그리고 토지라는 수단들을 통하여 발생되었다.

69:6.2

불을 피우는 행위는, 단 한 번의 도약에 의해서, 사람을 언제까지나 동물로부터 구분시켰으며; 그것은 근본적인 발명 또는 발견이었다. 불은 모든 동물들이 그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사람으로 하여금 밤에도 땅에 머물러 있을 수 있게 하였다. 불은 황혼 무렵의 사회적 교제를 북돋았다; 추위와 맹수들을 물리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귀신들에 대항하는 안전책이 되기도 하였다. 그것은 처음에는 열을 위한 수단보다 빛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진보가 늦은 부족들 대부분은 밤새도록 불꽃이 타오르지 않으면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69:6.3

불은 문명화에 크게 기여하였는데, 혼자만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불이 살아있는 숯을 그로 하여금 이웃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아무 손해 없이 남에게 유익을 줌으로서 이타적 존재가 되는 최초의 수단이 되었다. 한 집안의 불은 어머니 또는 가장 나이가 많은 딸에 의해서 보존되었는데, 방심하지 않는 태도와 믿음직스러운 태도를 요구하는, 최초의 선생 역할을 하였다. 초기 시대의 가정은 건물을 갖추지 못하였지만 그 가족들은 가족 공동 화로인 모닥불 주위에 모여 있었다. 새로운 가정을 꾸민 아들은 그 가족 공동 화로에서 불씨를 옮겨갔다.

69:6.4

불을 처음 발견한 안돈은 그것을 경배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을 피하였지만, 그의 자손들 대부분은 그 불꽃을 경배 대상 또는 하나의 영으로 간주하였다. 그들을 쓰레기를 태우는 것을 싫어하였기 때문에, 청결하게 만드는 불의 효용가치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원시인은 불을 두려워하였고 그것을 좋은 상태로 유지하여 냄새가 적게 나도록 하려고 항상 애를 썼다. 고대인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불 속에 침을 뱉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타오르는 불과 어떤 사람 사이를 결코 지나가려고 하지 않았다. 초기 인류는 심지어는 불을 붙이는데 사용된 황화철과 부싯돌들을 신성한 것으로 여겼다.

69:6.5

불을 끄는 것은 하나의 죄였으며; 만일 집이 불에 타게 되면 그대로 내버려두었다. 신전(神殿)과 성지(聖地)에 있는 불들은 신성시되었고, 일 년에 한 번 그리고 어떤 재난이 있은 후에 새로 불을 붙이는 것이 관례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불을 절대로 밖으로 가져가지 못하게 하였다. 여인들이 사제로 선택되었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집에 있는 불의 보호관리자였기 때문이었다.

69:6.6

불이 어떻게 하여 하느님들로부터 내려왔는지에 관해 기록된 초기의 신화들은 번갯불에 의해서 불이 붙는 것을 목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초자연적 기원에 대한 이 관념들은 불을 경배하도록 직접적인 작용을 하였으며, 불에 대한 경배는 “불을 통과하는” 풍습을 낳게 하였고, 그 실천 관행은 모세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다. 그리고 죽은 다음에 불을 통과하게 된다는 관념이 여전히 존속되었다. 불에 대한 신화는 초기 시대에 있어서 엄청난 속박의 도구였으며 파시 교도들의 상징주의 속에 여전히 존속되고 있다.

69:6.7

불로 인하여 조리법이 생겼고, “날고기를 먹는 사람들”이라는 말은 조롱하는 표현이 되었다. 그리고 음식을 요리함으로 인하여,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가 음식을 소화하는 일에 소모되는 것을 줄여주었고, 그리하여 초기 사람은 사회적인 문화를 위한 어느 정도의 힘을 갖게 되었으며, 반면에 목축업은 양식을 확보하기에 필요한 노력을 줄임으로써 사회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69:6.8

불로 인하여 금속 가공이 가능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증기력(蒸氣力)을 발견하게 하였으며 지금-현재에는 전기를 이용하게 되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69:5
 
69:7 ►